파이프 라인 단일 사이클 : 클럭 사이클이 모든 명령어에 대해 같은 길이를 갖는다. 클럭 사이클이 너무 길어서 비효율적. 병렬 처리 : 컴퓨터 시스템 계산 속도 향상을 위해 동시 데이터 처리 기능을 제공. 병렬처리의 방법 - 파이프 라인 다단계 데이터 처리법 : 한 클럭(CPU등의 순차 회로 연산 장치에 가해지는 진동)에 다양한 명령어 수행. 동시 다중 데이터 처리 각 명령어의 실행시간을 개선하지는 못하지만 처리량 개선 가능 세탁, 탈수, 옷 개기, 옷장 넣기를 세탁의 한 사이클로 표현한다. 단일 사이클의 경우 : 한 사이클이 끝나야 다음 세탁물을 세탁 할 수 있다. 파이프 라인의 경우 : 세탁이 끝난 세탁기에 다음 세탁물을 바로 집어 넣게 함으로써 여러 행동을 중첩해서 실행하도록 한다. 파이프라이닝으로..
인터럽트 컴퓨터 작동 중 예기치 않은 문제가 발생한 경우 문제를 해결하고 나서 원래 수행하던 프로그램을 다시 수행하는 메커니즘, 한 번에 하나의 명령만 수행할 수 있는 CPU의 한계를 보완함. CPU의 program counter(PC)에 의해 명령어를 처리하던 프로그램이 도중에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현재 수행하던 프로그램, 프로세서의 상태를 저장하고 인터럽트 처리기(interrupt handler)로 점프. 인터럽트 처리 동작(Interrupt Service Routine : ISR) 수행을 마치고, 인터럽트 처리기가 다시 원래 수행하던 프로그램으로 Return 하면서 저장했던 프로그램과 프로세서 상태를 가져오고 하던 일을 진행함. 실생활로 보는 인터럽트 인터럽트의 종류 외부 인터럽트 CPU 외부에서 어..
명령어 집합, 주소 지정 모드 명령어 집합 순차적 실행 명령어, 분기 명령어, 부 함수 호출 명령어, 복귀 명령어 명령어 구문 형식 명령 코드(연산 코드) : 함수 연산, 전달, 제어, 입출력 기능 오퍼 랜드 : 연산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 혹은 데이터 주소 주소 지정 모드 : 오퍼 랜드가 저장된 위치를 인덱싱 하는 방법 주소 지정 모드 주소 : 주기억 장치에서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 주소 지정 방식 : 주소를 지정하는 방식 유효 주소 : 데이터가 저장된 기억 장치의 실제 주소 주소 지정 방식에 따른 자료 접근 속도 즉치 주소 지정 > 레지스터 주소 지정 > 직접 주소 지정 > 레지스터 간접 주소 지정 > 간접 주소 지정 1 : 즉치 주소 지정 방식 명령어 주소 필드에 데이터가 들어가 있으며 상수 정의나 변..
CPU 디자인, 마이크로 연산과 ALU CPU 디자인 CPU 내에서 디바이스들 간의 상호 연결 방법 직접 연결 : 연결 복잡도가 장치 수의 제곱에 비례 버스 연결 : 가장 가성비 높은 연결 방식. 공통된 통신 채널을 통해 다양한 신호를 운반. 오늘날 PC가 널리 사용될 수 있도록 함. 버스를 통한 레지스터 상호 연결 예1 : 멀티 플렉서를 이용 멀티 플렉서는 여러 개의 입력 신호들 중에서 선별하여 버스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버스를 통한 레지스터 상호 연결 예2 : 상태 버스 버퍼 (버퍼는 연산의 중간 결과값을 기억함) 멀티 플렉서처럼 신호를 선택할 수 있고, Enable값을 컨트롤 할 수 있다. 마이크로 연산과 ALU 레지스터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해 수행되는 기본적인 연산(일반적인 사칙연산과는 다름)..
CPU 구성요소/동작, 레지스터 종류, 명령어 사이클 CPU 구성요소 컴퓨터에서 데이터 처리동작을 수행하는 부분을 중앙 처리 장치(CPU : Central Processing Unit)라고 부름. 마이크로 프로세서라는 하나의 칩에 모아서 만들어진다. 레지스터 세트, 산술 논리장치(ALU), 제어유닛, 내부 CPU버스로 구성됨. ALU : 각종 산술, 논리 연산 수행하는 회로들로 이루어진 하드웨어 모듈. (산술 연산 : 사칙 연산, 논리 연산 : AND, OR, NOT, XOR등) 레지스터 세트 : CPU 내부 레지스터 집합. 가장 빠른 기억장치. 제어 유닛 : 프로그램 명령어 해석하고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하드웨어 모듈. 내부 CPU 버스 : ALU와 레지스터들 간의 데이터 이..
조합 논리 회로와 순서 논리 회로 조합 논리 회로 논리 게이트로 구성되며 기억회로가 없으므로 이전 입력과 관계없이 현재의 입력 조합(0또는 1)으로부터 출력 값이 결정된다. 즉, 특정 시점의 출력이 그 시점의 입력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회로. 부울 대수와 진리표를 사용하여 간소화 한다. 가산기(Adder) : 두 개 이상의 입력을 받아 결과물 출력 멀티플렉서 : 여러 개의 입력 중 하나를 선택해 출력으로 보낼 수 있음 D-멀티플렉서 : 한 개의 입력을 어느 출력단에 내보낼지 선택할 수 있음 순서(순차) 논리 회로 상태값을 저장해두고 그 상태값이 다시 입력으로 들어가서 다음 상태값과 출력을 결정하는 회로 조합 논리 회로의 출력은 현재 입력 조합 논리로만 결정되는 반면, 순차 논리 회로는 기억 회로의 정보와 ..